TIL98 2021.3.2 TIL : [Python] 기초 문법2 문자열에서 어떤 문자가 몇 개나 들어있는지 알려주는 함수이다. 다음 코드를 실행시키면 2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 = 'hobby' print(a.count('b')) 문자열에서 어떤 문자가 어디에 들어있는지 그 배열의 인덱스를 알려주는 함수이다. 다음 코드를 실행시키면 2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2 번 째에 해당 문자가 있다는 것이다. (0번째부터 시작) 이 함수는 같은 문자가 문자열 안에 여러 번 있을 시에는 가장 첫 번째 인덱스를, 만약 해당 문자가 문자열 내에 없을 때에는 -1을 반환한다. a = "hobby" print(a.find('b')) join 앞의 ""사이에 들어가는 값을 기준으로 join 뒤에 들어가는 배열들 사이사이를 구성한다. a = ",".join("abcd") p.. 2021. 3. 2. 2021.3.1 TIL : [Python] 기초 문법1 정수형 (int) :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 을 포함하는 개념 ex) a = 3; a = -876 실수형 (floating - point) :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ex) a = 4.24e-10 8진수 표현법 : 8진수로 표현되는 수 앞에 0o 혹은 0O를 붙여 8진수 임을 표현해준다. 0o376 혹은 0O376 (10진수로 표현할 경우 254) 16진수 표현법 : 16진수로 표현되는 수 앞에 0x를 붙여 16진수 임을 표현해준다. 0xa95 (10진수로 표현할 경우 2709) 사칙연산 : +, -, *, / 로 사용된다. 나눗셈 후 나머지 반환 : % 나눗셈 후 몫 반환 : // ex) 72/10 = 7.2 72//10 = 7 문자열 (string) : 문자열을 저장하는 경우, 문자열 내에 ""가.. 2021. 3. 1. 이전 1 ··· 14 15 16 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