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마드코더2

도커 (Docker) 프로젝트를 하면서 도커에 대해서 이름을 들어보게 되었다. 배포와 관련해서 사용되는 거라는 건 알겠는데,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지는 헤매고 있었다. 이번에 새로 수강하게 된 강의에서 도커를 살짝 다루기도 하고, 최근에 노마드 코더 유투브에서 도커에 대한 영상을 찾아보기도 하면서, 구체적인 사용법까지는 아니더라도 어디에 사용되는지 정도는 이해하게 되었다. 도커는 환경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내가 개발한 환경은 윈도우이고, 개발한 것을 올릴 서버는 리눅스이면 OS의 차이로 인해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도커는 이런 문제를 해결해준다. 서로 다른 OS에서도 똑같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내 컴퓨터인 윈도우에 도커를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서버에도 도커를 .. 2022. 1. 18.
2021.7.4 TIL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기초-2 아아주 기본 부분을 넘어서 이제 조금 기본 부분을 배워볼 수 있을 것 같다. 이벤트 (Event) 자바스크립트가 웹의 활동성?을 보여줄 수 있는 언어라고 배웠는데, 그 부분들을 조금씩 배워가는 것 같다. 먼저, 이벤트는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보여지는 웹 부분을 어떻게 바꿔갈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코드를 예를 들어 보여주자면 다음과 같다. //html 파일은 지난 번에 이용한 것과 똑같다. const title = document.querySelector(".hello h1"); function clicked(){ const currentColor = title.style.color; let newColor; if (currentColor === "blue"){ newColor = "purp.. 2021. 7.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