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데이터 엔지니어링8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 2장. 데이터 모델과 질의 언어 2장 학습 목표 : 다양한 범용 데이터 모델을 살펴 본다. 특히 관계형 모델, 문서 모델, 그래프 기반 모델을 비교하고 다양한 질의 언어를 살펴 보고 사용 사례도 비교한다. 데이터 모델은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작성되었는지, 해결하려는 문제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를 반영해야 한다. 대부분의 어플리케이션은 하나의 데이터 모델을 다른 데이터 모델 위에 계층을 둬서 만든다. 각 계층의 핵심적인 문제는 하위 계층 관점에서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이 때 명확한 데이터 모델을 제공해서 추상화를 통해 하위 계층의 복잡성을 숨긴다. 관계형 모델과 문서 모델 관계형 모델 관계형 모델은 컴퓨터에 의한 비즈니스 데이터 처리(트랜잭션 처리, 일괄 처리)를 하면서 등장했다. 정리된 인터페이스 뒤로 구현 세부 사항을 숨.. 2023. 5. 3.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 - 1장. 신뢰성, 확장성, 유지보수성 데이터 중심 어플리케이션 설계라는 아마존 1위의 개발 서적 북리뷰 스터디를 시작하게 되었다. 쓰고 기록하지 않으면 휘발성 공부가 되어 버리니 매주 한 장씩 꼭 블로그를 작성해야 겠다는 다짐으로 시작해본다.. 1장의 학습 목표 : 신뢰성, 확장성, 유지보수성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를 고려하는 몇 가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각각의 개념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신뢰성 (Reliability)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결함, 심지어 인적 오류 같은 문제를 직면하더라도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원하는 성능 수준과 정확한 기능 수행을 해야 한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반적인 기대치는 다음과 같다.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가 기대한 기능을 수행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범한 실수나 예상치 못한 사용법도 허용.. 2023. 4. 23.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