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37

[Java] 이팩티브 자바 - #1. 생성자 대신 static 팩토리 메서드를 고려해라 생성자에 비해 static 메서드가 가지는 유연함에 대한 글. 장점 1. 이름을 가질 수 있다. 생성자에 제공하는 파라미터가 해당 클래스(반환값)를 잘 대변하지 못하는 경우 메서드 명을 가질 수 있는 static 메서드가 더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똑같은 타입을 매개변수로 받는 생성자는 두 개 이상 존재할 수 없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도 이름을 갖는 메서드가 낫다. /** * 생성자를 이용하여 에러가 발생하는 코드 */ public class Foo { String name; String address; public Foo(String name){ this.name = name; } public Foo(String address){ this.address = address; } // 에러. } /** * .. 2022. 8. 15.
[Java] 스터디 9주차_입출력 I/O 1. 자바에서의 입출력 1.1 입출력이란? 컴퓨터 내부 또는 외부의 장치와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 1.2 스트림 자바에서 입출력을 수행하려면 (어느 한 쪽에서 다른 쪽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려면) 두 대상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한데 이것이 스트림이다. (람다와 스트림에서 배운 스트림과 다른 의미임) 스트림은 데이터를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연결 통로이다. 스트림의 특징 단방향통신만 가능하다 (하나의 스트림으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음. ) 동시 수행을 위해서는 입력 스트림과 출력스트림 총 2개의 스트림이 필요하다. 먼저 보낸 데이터를 먼저 받게 되어 있으며 중간에 건너뜀 없이 연속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FIFO 구조) 1.3 바이트기반 스트림 입력스.. 2022. 8. 6.
[Java] 스터디 8주차_람다와 스트림(Lambda & Stream) 1. 람다식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 익명함수라고도 함. ※메서드와 함수의 차이 : 메서드는 함수와 같은 의미지만 특정 클래스에 반드시 속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음(객체지향 개념에서 사용) 1.1 람다식 작성하기 메서드에서 이름과 반환타입을 제거하고 매개변수 선언부와 몸통{} 사이에 -> 를 추가한다. 반환값이 있는 메서드의 경우 return 문 대신 식(expression)으로 대신할 수 있다. 식의 연산결과가 자동적으로 반환값이 된다. 이 때는 문장이 아닌 식이므로 끝에 ;를 붙이지 않는다. 람다식에 선선된 매개변수의 타입은 추론이 가능한 경우 생략할 수 있다 (반환타입이 없는 이유도 추론이 가능하기 때문) 선언된 매개변수가 하나뿐인 경우에는 괄호를 생각할 수 있다. 단, 매개변수 타입이 있.. 2022. 7. 16.
[Java] 스터디 7주차_쓰레드 (Thread) 쓰레드와 관련한 내용은 지난 학기 운영체제를 수강하면서 배우게 되었는데, 중간고사 이후로 조금 까먹기도 했고 쓰레드 관련 프로그래밍은 해본 적이 없어서 이번 기회를 통해서 정리할 수 있었다. 1. 프로세스와 쓰레드 프로세스 : 실행 중인 프로그램 (프로그램 수행에 필요한 데이터나 메모리 등의 자원, 쓰레드로 구성되어 있음) 쓰레드 : 프로세스의 자원을 이용하여 실제로 작업을 수행하는 단위 모든 프로세스에는 최소 하나 이상의 쓰레드가 존재하며 둘 이상의 쓰레드가 존재하는 것을 멀티 쓰레드 프로세스라고 한다. 쓰레드가 작업을 수행하는데 개별적인 메모리 공간(호출스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프로세스의 메모리 한계에 따라 생성할 수 있는 쓰레드의 수가 결정된다. (실제로는 메모리의 한계가 올 정도로 많은 쓰레드.. 2022. 7. 2.
[Java] 스터디 6주차_Generics, enums, annotation 1. Generics 1.1 지네릭스 (Generics) Generics : 다양한 타입의 객체들을 다루는 메서드나 컬렉션 클래스에 컴파일 시의 타입체크를 해주는 기능. 객체의 타입을 컴파일 시에 체크하기 때문에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인다. 의도하지 않은 타입의 객체가 저장되는 것을 막고 저장된 객체를 꺼내올 때 원래의 타입과 다른 타입으로 잘못 형 변환되어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여준다. 형변환의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1.2 지네릭 클래스의 선언 클래스와 메서드에 선언할 수 있다. 클래스에 선언하는 지네릭 타입 class Box { Object item; void setItem(Object Item) {this.item = item;} Object getItem() {return item;} } -.. 2022. 5. 29.
[Java] 스터디 5주차_컬렉션 프레임웍 1. 컬렉션 프레임워크 컬렉션 : 컬렉션은 다수의 데이터, 즉 데이터 그룹을 의미하고 프레임웍은 표준화된 프로그래밍 방식을 의미 서로 다른 각자의 방식으로 처리해야 했던 Vector, Hashtable, Properties와 같은 컬렉션 클래스들을 보완하기 위해서 모든 컬렉션 클래스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다룰 수 있도록 체계화되었다. 1.1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핵심 인터페이스 List : 순서가 있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의 중복 허용 Set : 순서를 유지하지 않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의 중복 불허 Map : 키와 값의 쌍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의 집합. 순서는 유지되지 않으며 키는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 List와 Set은 서로 많은 공통 부분이 있어서 공통된 부분을 다시 뽑아 Collection 인터페.. 2022.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