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37 [Spring Boot] 회원 관리 예제 - 웹 MVC 개발 스프링 부트 강의를 들으면서 수업 내 다루는 예제들을 따라해 보는 중이다. 지난 블로그에서 작성했던 스프링 빈 등록까지 마친 후 회원 관리 기능을 웹 페이지로도 보여주는 MVC 개발 단계이다. 먼저 홈 컨트롤러를 추가해준다.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 public String home(){ return "home"; } } 하는 역할은 localhost:8080/ 이 .. 2022. 1. 11. [Spring Boot]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지난 블로그에서 작성했던 예제를 가지고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컨트롤러 패키지 안에 MemberController 클래스를 생성해주었다. MVC 중에 C를 가지고 요청을 받고 어떤 동작을 해줄지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package hello.hellospring.controller; import hello.hellospring.service.Member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 2022. 1. 9. [Spring Boot] 간단한 예제 - 회원 관리 예제 2 지난 글에서는 리포지토리와 관련한 이번에는 회원 서비스 개발 및 테스트이다. 회원가입과 전체 회원 조회, 개별 회원 조회 이렇게 세 가지 서비스를 추가하려고 한다. 새로 service 패키지를 만들어서 그 안에 MemberService 클래스를 만든다. 그리고 아래 코드를 추가한다. package hello.hellospring.service;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mport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Optional; .. 2022. 1. 7. [Spring Boot] 간단한 예제 - 회원 관리 예제 1 인프런에서 무료로 열려 있는 스프링부트 입문 강의를 수강하고 있다. 오늘 배운 내용은 회원 관리에 필요한 백엔드를 만드는 것이다. 먼저 다음과 같은 상황을 가정했다. 데이터에는 회원 ID(pk로 사용자가 아닌 시스템에서 고유키로 부여), 회원 이름을 저장 기능 : 회원 등록, 조회 아직 데이터베이스로 무엇을 사용해야 할지 (ex. MSSQL, MySQL 등) 결정하지 못해서 DB가 없이 먼저 개발부터 해야 할 상황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계층 구조는 다음과 같다. 이 때 아직 DB가 선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우선 인터페이스로 구현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하며, 구현체로 가벼운 메모리 기반의 데이터 저장소를 사용한다. ※자바의 인터페이스※ 객체와 객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 작용의 매개로 쓰인.. 2022. 1. 7. [Spring Boot] 서버에서 스프링 파일 실행시키기 대부분 개발은 IDE 안에서 작업하겠지만, 서버에 올릴 때는 깃헙에 파일 올리기 -> 서버에서 다운 받기 -> 실행시키기 순으로 되기 때문에 IDE를 사용할 수 없다. 그래서 서버에서 스프링 파일 실행시키는 명령어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스프링 프로젝트(파일)가 존재하는 디렉토리 안으로 간다. 프로젝트를 빌드해준다. $ ./gradlew build 빌드된 파일 디렉토리 아래로 이동한다. $ cd build/libs ll 명령어로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의 상세를 확인해본다. $ ll 여기 존재하는 hello-spring-0.0.1-SNAPSHOT.jar 파일만 복사해서 서버에서 실행시켜주면 된다! 실행은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 2022. 1. 3. [Spring Boot] spring-boot-devtools 라이브러리 추가 매번 변경 사항이 있을 때마다 스프링부트 서버를 껐다가 다시 켜서 수정한 내용을 확인하는 게 번거로워 보여서 spring-boot-devtools를 추가하려고 한다. 이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면 서버를 껐다 킬 필요 없이 컴파일만 다시 해주면 서버에 변경 내용이 반영된다. 먼저 build.gradle 을 확인한다.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devtool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 2022. 1. 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