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76
문제 설명 :
수많은 마라톤 선수들이 마라톤에 참여하였습니다. 단 한 명의 선수를 제외하고는 모든 선수가 마라톤을 완주하였습니다.
마라톤에 참여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participant와 완주한 선수들의 이름이 담긴 배열 completion이 주어질 때, 완주하지 못한 선수의 이름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마라톤 경기에 참여한 선수의 수는 1명 이상 100,000명 이하입니다.
- completion의 길이는 participant의 길이보다 1 작습니다.
- 참가자의 이름은 1개 이상 20개 이하의 알파벳 소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참가자 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입출력 예
participant | completion | return |
["leo", "kiki", "eden"] | ["eden", "kiki"] | "leo" |
["marina", "josipa", "nikola", "vinko", "filipa"] | ["josipa", "filipa", "marina", "nikola"] | "vinko" |
["mislav", "stanko", "mislav", "ana"] | ["stanko", "ana", "mislav"] | "mislav" |
문제 풀이 :
이 문제는 사실 전에 푼 적이 있다. 아마도 몇 달 전에 알고리즘 스터디 했을 때 풀었던 것 같다. 그 때 썼던 코드를 보지 않고 다시 풀어봤는데, 로직은 똑같지만 훨씬 더 깔끔한 코드를 짤 수 있었다. 아마 그동안 깔끔한 코드가 뭔지.. 조금은? 배운 게 아닐까? 코드를 공유해보면 다음과 같다.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for i in range(len(completion)):
if participant[i] != completion[i]:
return participant[i]
return participant[-1]
'''
전에 작성했던 코드
'''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participant.sort()
completion.sort()
answer = ""
n = len(participant)
for i in range(n-1):
if participant[i] == completion[i]:
pass
else:
answer = participant[i]
break
if answer == "":
answer = participant[n-1]
return answer
하지만 이 문제를 다시 풀어봐야지 마음 먹은 건 코드를 더 깔끔하게 정리해보려고 그런 게 아니다. 제대로 된 해시 함수를 이용해보고자 하는 거였다. 사실 해시 문제 중에 마지막 문제인 베스트 앨범을 풀면서 해시로 안 풀고 자꾸 다른 것을 사용하려고 해서 이참에 제대로 정리해보고자 하는? 그런 마음이었다.
해시에 대해서 완전히 처음 보는 상황은 아니었기에 간단히 코딩하는거니님의 유투브를 보고 다시 정리했다. (https://youtu.be/xls6jEZNA7Y)
그리고 나서 파이썬 내장의 hash 함수가 쓰이는 것을 한 번 알아봤다.
즉, hash('Kim') 이런 함수는 8868063584980042686 라는 해시값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파이썬 3.3 버전 이상부터는 보안 상의 이유로 hash 값이 매 실행 때마다 달라지도록 설정했다고 한다.)
그리고 나서 이 문제에 적용한 다른 사람들의 풀이를 보았다.
def solution(participant, completion):
answer = ''
temp = 0
dic = {}
for part in participant:
dic[hash(part)] = part
temp += int(hash(part))
for com in completion:
temp -= hash(com)
answer = dic[temp]
return answer
즉 dic이라는 딕셔너리에 {8868063584980042686 : 'leo', -4563290583221469378 : 'kiki'} 이런식으로 추가해주고 전체 키 값을 합한 것에서 완주한 사람들의 키값만을 빼준다. 그리고 나서 그 차를 키 값으로 가지는 이름을 반환해주면 된다.
효율성에서도 해시를 이용한 것이 조금 더 빨라진 것을 볼 수 있었다. 해시를 정리했으니, 다른 문제들도 해시로 풀어봐야겠다.
'[알고리즘]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0) | 2021.11.06 |
---|---|
[해시] 프로그래머스 - 베스트앨범 (0) | 2021.11.06 |
[깊이/너비 우선 탐색 (DFS/BFS)] 프로그래머스 - 단어 변환 (0) | 2021.11.04 |
프로그래머스 - 124 나라의 숫자 (0) | 2021.11.01 |
프로그래머스 - 신규 아이디 추천 (0) | 2021.10.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