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출처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2410#
문제 설명 :
카카오에 입사한 신입 개발자 네오는 "카카오계정개발팀"에 배치되어, 카카오 서비스에 가입하는 유저들의 아이디를 생성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네오"에게 주어진 첫 업무는 새로 가입하는 유저들이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지 않는 아이디를 입력했을 때, 입력된 아이디와 유사하면서 규칙에 맞는 아이디를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다음은 카카오 아이디의 규칙입니다.
- 아이디의 길이는 3자 이상 15자 이하여야 합니다.
- 아이디는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 문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단, 마침표(.)는 처음과 끝에 사용할 수 없으며 또한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네오"는 다음과 같이 7단계의 순차적인 처리 과정을 통해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가 카카오 아이디 규칙에 맞는 지 검사하고 규칙에 맞지 않은 경우 규칙에 맞는 새로운 아이디를 추천해 주려고 합니다.
신규 유저가 입력한 아이디가 new_id 라고 한다면,
1단계 new_id의 모든 대문자를 대응되는 소문자로 치환합니다.
2단계 new_id에서 알파벳 소문자, 숫자, 빼기(-), 밑줄(_), 마침표(.)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제거합니다.
3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2번 이상 연속된 부분을 하나의 마침표(.)로 치환합니다.
4단계 new_id에서 마침표(.)가 처음이나 끝에 위치한다면 제거합니다.
5단계 new_id가 빈 문자열이라면, new_id에 "a"를 대입합니다.
6단계 new_id의 길이가 16자 이상이면, new_id의 첫 15개의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들을 모두 제거합니다.
만약 제거 후 마침표(.)가 new_id의 끝에 위치한다면 끝에 위치한 마침표(.) 문자를 제거합니다.
7단계 new_id의 길이가 2자 이하라면, new_id의 마지막 문자를 new_id의 길이가 3이 될 때까지 반복해서 끝에 붙입니다.
[제한사항]
new_id는 길이 1 이상 1,00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new_id는 알파벳 대문자, 알파벳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new_id에 나타날 수 있는 특수문자는 -_.~!@#$%^&*()=+[{]}:?,<>/ 로 한정됩니다.
입출력 예시
no | new_id | result |
예1 | "...!@BaT#*..y.abcdefghijklm" | "bat.y.abcdefghi" |
예2 | "z-+.^." | "z--" |
예3 | "=.=" | "aaa" |
예4 | "123_.def" | "123_.def" |
예5 | "abcdefghijklmn.p" | "abcdefghijklmn" |
문제풀이 :
이 문제는 2021 카카오 블라인드 코딩테스트 문제로 나왔던 문제라고 한다. 역시 카카오 문제라서 조건도 많고, 고려해야 할 사항도 많았다. 하지만 그 중에서도 제일 쉬운 문제였다. 전에 광고 삽입 문제를 풀 때보다는 확실히 쉬웠고, 조건만 잘 충족시킨다면 괜찮았을 것 같다. 다만, 예외 케이스들을 생각해내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def solution(new_id):
new_id = list(new_id)
if len(new_id) > 0:
answer = []
for i in range(len(new_id)):
if new_id[i].isupper():
answer.append(new_id[i].lower())
elif new_id[i] in '~!@#$%^&*()=+[{]}:?,<>/':
continue # skip
else:
try:
if answer[-1] == '.' and new_id[i] == '.':
continue
except IndexError:
answer.append(new_id[i])
continue
answer.append(new_id[i])
while answer[0] == '.' or answer[-1] == '.':
if answer[0] == '.':
del answer[0]
if len(answer) == 0:
break
if answer[-1] == '.':
del answer[-1]
if len(answer) == 0:
break
if len(answer) > 15:
answer = answer[:15]
while len(answer) <= 2:
if len(answer) == 0:
answer.append('a')
else:
answer.append(answer[-1])
if answer[-1]== '.':
del answer[-1]
return ''.join(answer)
else:
return 'aaa'
먼저 new_id가 공란으로 들어오지 않은 경우와 공란인 경우를 구분해서 처리해줬다. 공란인 경우 바로 'aaa'를 반환해주고, 공란이 아닌 경우에 위 문제에서 언급한 단계들을 순차적으로 밟으면 된다.
여기서 answer는 삭제할 것과 수정할 것을 수정하고 남은 문자열이다.
첫 번째 if문에서는 대문자인 경우를 소문자로 변환하고 answer에 넣어주었고, 두번째 elif문에서는 아이디에 들어가서는 안되는 특수문자들을 그냥 넘어감으로써 생략해주었다. 마지막으로 가장 최근에 answer의 값이 '.'이고 내가 지금 넣고자 하는 값도 '.'이면 그냥 넘어가고, 아니면 answer에 추가해주었다. 이 때 try, except를 이용해서 answer에 들어간 값이 없는 경우를 처리해줬다. (if문으로 처리해줘도 상관없는 것 같다) (1, 2, 3단계)
그렇게 허용가능한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로만 이루어진 answer 문자열에서 첫 자리에 .이 오는 경우 / 끝자리에 .이 오는 경우에 .들을 제거 해줬다. (4단계)
문자열의 길이가 16자 이상되면 15자까지만 잘라주고 (6단계) 그리고 나서 남은 문자열의 길이가 2 이하이면 마지막 문자 반복, 0이면 aaa가 반환될 수 있도록 처리해주면 된다. (5, 7단계)
결론적으로 엄청난 알고리즘을 생각하는 건 없었고, 구현을 얼마나 잘하는가를 보는 문제였던 것 같다. 초반에 "-_.~!@#$%^&*()=+[{]}:?,<>/._-" 가 "-_._-"이 되는 경우 (중간에 허용되지 않은 특수문자를 지우고 나면 .. 이 붙게 된다)를 생각하지 못해서 자꾸 문제를 틀려서 오래 걸렸다. 단순 구현 문제도 자주 풀어봐야 할 것 같다.
'[알고리즘] 문제 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깊이/너비 우선 탐색 (DFS/BFS)] 프로그래머스 - 단어 변환 (0) | 2021.11.04 |
---|---|
프로그래머스 - 124 나라의 숫자 (0) | 2021.11.01 |
[정렬] 프로그래머스 - H-index (0) | 2021.10.29 |
[해시] 프로그래머스 - 위장 (0) | 2021.10.29 |
[깊이/너비 탐색 문제] 프로그래머스 - 타겟넘버 (0) | 2021.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