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37

2021.8.5 TIL : [Django] DRF(Django Rest Framework) 1 - 함수기반 api REST API에 대한 기본 설명 : [Django] REST API & Rest framework 클라이언트는 url 주소를 통해서 서버에 request를 보내고, Django는 urls.py를 참고하여 해당 url에 매핑된 뷰를 찾아 실행한다. 이때 실행되는 뷰의 종류에는 클래스 기반 뷰(class-based view)와 함수 기반 뷰(function-based view)가 있다. Django의 REST framework를 사용할 때도 위의 이유로 두 가지 방법이 있다고 한다. 오늘 배운 내용은 함수 기반 api이다. 이후에 클래스 기반 api 내용도 작성해볼 예정이다. Django rest framework 공식 문서에 적힌 튜토리얼과 약간 다를 수 있다. 나는 유튜브의 강의를 참고했다. 강의가 영.. 2021. 8. 6.
2021.8.3 TIL : [Java] 기초 문법2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응용(1)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응용에서는 세 가지 주요 내용을 다룬다. 클래스의 상속,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이다. 1. 클래스의 상속 클래스 상속은 파이썬에서도 해본 적이 있다. A와 B 객체가 있을 때 B의 속성들이 A와 공통된다면 B에서 A의 속성들을 상속하고 A가 가지고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그대로 물려받은 것이다. 필요한 경우 B에서 추가로 필드나 메소드를 만들어서 사용해도 된다. 이 때 상위 클래스인 A클래스를 '슈퍼 클래스' 혹은 '부모 클래스'라고 하고 하위 클래스인 B는 '서브 클래스'나 '자식 클래스'라고 한다. 예를 들어 부모 클래스로 자동차 클래스가 있고 자식 클래스로 트럭과 세단이 있다고 해보면 코드는 다음과 같다. class Car{ String color; int speed; void .. 2021. 8. 3.
2021.7.31 TIL : [Java] 기초 문법1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언어는 대표적으로 Java, C#, C++ 등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다음과 같이 몇 가지의 특징을 갖는다. 추상화란 불필요한 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고 꼭 필요한 정보만 노출하는 기법으로 캡슐화, 은닉화 등의 용어와 관련이 있다. 자료의 추상화를 위해 구현한 것이 클래스이다. 상속이란 기존에 만들어놓은 클래스의 기능을 그대로 물려받아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하면 기존 코드가 재사용되기 때문에 상당히 효율적인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다형성이란 같은 이름의 기능을 하는 요소를 여러 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A라는 이름의 메소드 여러 개가 각각 다른 기능을 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동적 바인딩이란 실행할 시점에 동작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컴파일할 때.. 2021. 7. 31.
2021.7.30 TIL : [MySQL] 실행법과 간단한 DML SQL 문 처음 MySQL을 다운 받는 과정은 부스트코스 강의 중 웹 백엔드 과정과 코드라이언 강의 중 일단 만드는 Django 과정에서 외부 DB(Maria DB)를 연결하는 부분을 통해 이해할 수 있었다. 1. 실행법 MySQL 을 잘 다운로드 받았다면 터미널 앱에서 실행할 수 있다. 다음 명령어를 이용하면 된다. $ mysql.server start 그럼 이런 문구가 나오면서 서버를 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서버 종료는 다음과 같다. $ mysql.server stop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user와 password를 설정해 주어야 한다. $ mysql -uroot -p 위 코드는 MySQL 관리자 계정인 root로 DBMS에 접속하겠다는 것이다. 다음은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 2021. 7. 30.
2021.7.24 TIL : [GitHub] 협업을 위한 깃헙 사용 방법 [GitHub] 간단한 깃헙 사용 방법을 먼저 참고하기. 처음으로 깃헙에서 Pull Request(PR)도 해보고, 충돌이 발생할 때 수정도 해봤다. 깃헙이 왜 편리한 버전 관리툴이자 협업 툴인지 이해할 수 있었다. 이 블로그에서 배울 것은 git에서 fork 떠오기, git clone, remote 설정, branch 만들기, merge 이후 branch 삭제까지이다. 먼저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 VS Code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보면 된다. 또한, 이 블로그는 내가 repository를 만들지 않고, 다른 사람의 레포지토리를 fork해 오는 과정을 기본으로 한다. 1. 팀장(편의상 팀장이라고 함. 아무나 해도 상관없다)이 자신의 깃헙에 repository를 하나 만든다. 2. 해당 .. 2021. 7. 24.
2021.7.23 TIL : [Django] ORM의 select_related/prefetch_related, forms.py에서 지정한 form을 css로 디자인하기, 외부 DB 연동하기 며칠동안 하나의 주제를 깊이 파기 보다는 장고로 기본 블로그를 만들고 이것 저것 많이 시도해봤다. 아직 배울 것도 너무 많고 다 새로운 내용이라 깊이 있게 나가지 못했지만, 배운 내용을 정리 안 해두면 금방 까먹을 것 같아 여러 주제를 통합해 올리기로 했다. 주제는 다음과 같다. 1. ORM의 select_related와 prefetch_related 2. forms.py 를 만들어서 하나의 폼을 어디에나 쓸 수 있도록 간편하게 만들어 둔 것을 css로 디자인 수정하는 방법 (특히 django에서 기본적으로 주는 툴인 UserCreationForm을 바꾸는 방법) 3. Mysql이나 mariadb 같은 외부 DB와 연동하는 법 1. ORM의 select_related와 prefetch_related 개인.. 2021. 7. 23.